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한국

KT 기가지니의 목소리 복원 프로젝트 광고에 대한 찬양과 비평

반응형

최근, KT 기가지니의 광고에는 목소리를 "잃어버린" 청각장애인 김소희 씨가 출현했습니다. 따뜻한 AI 기술로 목소리를 선물했다면서 KT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매우 강조했죠. 개인적으로 광고를 보면서 AI 기술력에 놀랐다거나, 감동을 받았다거나 한 것은 없습니다. 첫 번째로 비교적 인위적인 감동 스토리라는 느낌이 강했고, 두 번째로 이런 내용을 광고가 아닌 다큐멘터리로 표현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다행히도 KT 유튜브 채널에 풀스토리라고 올라온 동영상이 있더군요. 풀스토리라 해봤자 광고까지 합쳐 재생 시간은 겨우 3분 45초에 그쳤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함께 살펴보시죠. 

KT가 여기서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사실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가지니 제품을 선전하기 위함, KT의 사회적 책임을 드러내기 위함, KT의 AI 기술력을 자랑하기 위함 등 종합적인 목적, 목표가 담겼을 것입니다. 광고 내용과 대부분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KT가 의도한 바를 이룬 것 같기도 합니다. 이런 AI 기술이야말로 세상을 따뜻하게 해주는, 세상에 필요한 기술이라면서 KT 기술력을 칭찬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제 눈에는 한 편의 인위적인 감동 스토리에 불과해 보이는 걸까요? 

장애인을 위한 AI 기술 적용 사례는 많습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구글의 언어 장애 극복을 위한 유포니아 프로젝트(Euphonia Project)가 있습니다. 구글 어시스턴트의 음성인식 성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목소리를 잃은, 혹은 잃어가는 사람들에게 다시 목소리를 돌려준다는 목적을 지니고 있죠. 아래 영상은 YouTube Originals의 <THE AGE OF A.I.> 시리즈 중 한 편입니다. 여기에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LS)으로 인해 온 몸이 굳어져 가는 전 미식축구 선수 팀 쇼(Tim Shaw)가 자신의 목소리를 보존하기 위해 훈련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 역시 이와 비슷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바로 중국과학원컴퓨터연구소(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에서 개발한 독순술 AI를 통해 아동 청각장애인의 소통을 도와주는 프로젝트입니다. 독순술이란 말 그대로 소리 없이도 입 모양만을 보고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파악 가능한 기술입니다. 중국과학원컴퓨터연구소는 컴퓨터비전을 통해 청각 장애인의 입모양을 인식하고 이를 화면에 글자로 변환하여 원활한 소통을 돕고자 합니다. 중국어밖에 지원되지 않지만 아래 "인간 vs 인공지능" 대결을 다루고 있는 중국 방송 프로그램 <기지과인(机智过人)>에 출현한 독순술 AI 영상을 첨부합니다. 

구글과 중국과학원컴퓨터연구소의 프로젝트는 얼핏 보기에 KT 기가지니와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모두 장애인의 소통을 돕기 위해 AI 기술을 적극 사용하려는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스토리 구성을 보자면 구글은 유튜브 시리즈를 통해 진정한 "풀스토리"를 공개했고, 중국과학원컴퓨터연구소 역시 방송 프로그램 <기지과인>을 통해 자세한 개발 이유, 목적, 향후 목표 등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KT 기가지니는 어떤가요? 광고로 사람들의 이목을 확 끌었으나 우리는 기가지니의 기술력, 프로젝트 과정 등 알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입니다. 진정으로 사회적 책임이란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다면 이를 개발하기 위한 사람들, 프로세스, 한계점 등을 다 밝힐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광고만 보고 있자면 KT 기가지니는 세상을 밝혀주는 완벽한 기술입니다.)

너무 완벽한 기술로 보여지기 때문에 인위적인 감동 스토리에 불과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AI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지만 여전히 극복해야 할 사안도 많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훨씬 큰, 아직까진 초기 단계인데 말이죠. 

마지막으로 스토리 구성이나 워딩도 더 많은 고려가 이루어졌어야 합니다. 엄마가 목소리가 없어 소통이 잘 안되고, 거리감을 느낀다고 한 자식들의 표현이 과연 옳은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 친구들이 자발적으로 솔직하게 마음을 표현한 것인지도 모르겠으나 사람과의 대화에서 목소리가 필수는 아닙니다. 청각장애인 언어 수화가 이미 존재하고, 눈빛, 제스쳐 등을 통해서도 충분히 마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친구들이 "소통에 문제가 없진 않은데요, 목소리가 있다면 엄마와 더 재밌게 대화할 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표현했으면 어땠을까요? 

같은 맥락에서 목소리가 없어 불편하다, 힘들다, 어렵다는 전제 하에 KT 기가지니가 AI 기술을 통해 목소리를 선물했다는 구성은 KT 관계자들이 깊은 사고를 거치지 않았다고 보입니다. 장애는 보통 사람과 조금 다른 것 뿐이지, 우리가 동정을 느끼며 도와줘야 하는 대상이 아닙니다. 장애인 역시 우리와 똑같이 편하게, 행복하게, 현재 삶에 만족하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모든 AI 기술은 지금보다 더 큰 도움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지, 불편함을 해결해준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우리 모두 불편한 삶을 살고 있는 불쌍한 인간이 되니까요... 

위에서 언급한 중국 방송 프로그램 <기지과인>과 구글의 유포니아 프로젝트는 소요 사이트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