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돌이 존버/프로그래밍 스터디

(프로그래머스 연습 문제 풀이) 거리두기 확인하기

애뚱 2021. 7. 26. 16:25
반응형
문제 설명
개발자를 희망하는 죠르디가 카카오에 면접을 보러 왔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응시자들은 거리를 둬서 대기를 해야하는데 개발 직군 면접인 만큼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대기실에 거리를 두고 앉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1. 대기실은 5개이며, 각 대기실은 5x5 크기입니다.
2. 거리두기를 위하여 응시자들 끼리는 맨해튼 거리[각주:1]가 2 이하로 앉지 말아 주세요.
3. 단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 사이가 파티션으로 막혀 있을 경우에는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5개의 대기실을 본 죠르디는 각 대기실에서 응시자들이 거리두기를 잘 기키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습니다. 자리에 앉아있는 응시자들의 정보와 대기실 구조를 대기실별로 담은 2차원 문자열 배열 pla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각 대기실별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1. places의 행 길이(대기실 개수) = 5
- places의 각 행은 하나의 대기실 구조를 나타냅니다.
2. places의 열 길이(대기실 세로 길이) = 5
3. places의 원소는 P,O,X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 places 원소의 길이(대기실 가로 길이) = 5
- P는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 O는 빈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 X는 파티션을 의미합니다.
4. 입력으로 주어지는 5개 대기실의 크기는 모두 5x5 입니다.
5. return 값 형식
- 1차원 정수 배열에 5개의 원소를 담아서 return 합니다.
- places에 담겨 있는 5개 대기실의 순서대로, 거리두기 준수 여부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습니다.
- 각 대기실 별로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담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대기실
-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두 번째 대기실
- (0, 0) 자리의 응시자와 (2, 0)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
- (1, 2) 자리의 응시자와 (0, 3)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
- (4, 3) 자리의 응시자와 (4, 4)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

세 번째 대기실
-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네 번째 대기실
- 대기실에 응시자가 없으므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대기실
-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두 번째 대기실을 제외한 모든 대기실에서 거리두기가 지켜지고 있으므로, 배열 [1, 0, 1, 1, 1]을 return 합니다.
dx = [1, -1, 0, 0]
dy = [0, 0, 1, -1]
    
def BFS(x, y, room):
    visited = [[0 for _ in range(5)] for _ in range(5)]
    man_len = 0
    tmp1 = [[x, y]] # 좌표
    tmp2 = [0] # 맨해튼 거리
    
    while tmp1:
        x = tmp1[0][0] # deque 구조와 popleft()를 사용해도 됨
        y = tmp1[0][1]
        tmp1.remove(tmp1[0])
        visited[x][y] = 1
        man_len = tmp2[0]
        tmp2.remove(tmp2[0])
        
        if man_len == 2: # 맨해튼 거리 2 초과이므로 더 이상 진행할 필요 없음
            return 1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 nx < 5 and 0 <= ny < 5:
                if visited[nx][ny] == 0:
                    if room[nx][ny] == 'P':
                        return 0
                    elif room[nx][ny] == 'O':
                        tmp1.append([nx, ny])
                        tmp2.append(man_len + 1)
                    # 'X'면 해당 노드에 대해선 상하좌우를 살필 필요가 없음
    return 1

def solution(places):
    answer = []
    for room in places:
        stop = False
        for x in range(5):
            for y in range(5):
                if room[x][y] == 'P':
                    if BFS(x, y, room) == 0:
                        stop = True
                        break
            if stop == True:
                break
        if stop == True:
            answer.append(0)
        else:
            answer.append(1)
    return answer

본 문제는 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 코딩 테스트에 나온 문제다. 문제 설명을 다 읽어보면 BFS나 DFS 등 그래프 탐색을 활용하여 풀어야함을 알 수 있다. 혹은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 중 맨해튼 거리가 2보다 큰지 작은지만 판단하면 되기 때문에 brute force로 풀수도 있다.

본인은 그래프 탐색 문제스럽게 생겼기에 그래프 탐색 방법 그중에서도 BFS로 풀었다. 확실히 BFS나 DFS는 "자주 많이" 풀어야 함을 느꼈는데, 그 이유는 문제를 풀 때 일정한 패턴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 visited = []와 같이 방문한 노드를 체크한다던지, 2) 방문한 노드가 우리가 찾아야 하는 특정 문자라던지, 3) dx 및 dy로 상하좌우를 표시한다던지 등이 있다. 이렇게 큰 틀만 머릿속에 기억하고 있어도 문제를 풀 때 끄적이기라도 할 수 있다(?)

위에서 관건은 tmp1, tmp2 변수를 활용해서 상하좌우를 살피고, 그 살핀 경우를 tmp1, tmp2 변수에 추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부터 하나씩 꺼내 확인하고, 다음 원소를 꺼내서 확인하는 반복 과정을 거친다. 1) 상하좌우 모두 리스트에 추가하고, 2) 각 경우를 꺼내 검사 과정을 통해 0 또는 1을 리턴한다. 하지만 해당 노드가 'O'일 경우 한 번 더 상하좌우를 살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얼핏 보면 DFS 같아 보이긴 한다.

  1. 두 테이블 T1, T2가 행렬 (r1, c1), (r2, c2)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면, T1, T2 사이의 맨해튼 거리는 |r1 - r2| + |c1 - c2| 입니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